동영상 두개 시청
1.솔개의 선택 decision
-솔개는 길게 살면 80여년을 사는데 40년쯤 되면 바위산에 가서 부리와 발톱을 부수고 뽑아 새로 나게 하는 과정을 거친대요.
삶에는 선택이 아니라 결정이 필요하다.(의지와 결단이 동반되는 행동)
2. 물고기 코이
- 어항/연못/강 등
환경에 따라 몸크기가 달라진다
: 꿈이 바로 우리의 환경 ~
꿈을 크게 가지자~
사진
저자/책소개 후
독서 토론 중~
▷4.5
2점+
2.5-대화체 읽기 쉽고 진로에 관한 정보를 줌
▷4점-8명의 다양한 시각
내용이 지루해서 -1점
▷만화형식이었으면...좋을 듯
▷-4.5 점 재미없다
+1점← 내용은 좋으니까^^;;;
그래서 1.5점
사진
[2]인상 깊었던 부분은?
▷이남석 작가- 꿈을 1단계, 2단계 3단계로 말한게 인상 깊었다.
▷김경집-창조 , 혁신 융합
▷6쪽 공부는 입체적이고 다양한 방향성을 지녀야 한다라고 한 부분
▷진로를 나침반으로 설정하는 개념←참신하고 잘 들어 맞는다~
[이향정(전지원맘)] [오전 10:52] [3] 진로지도를 받은 적이 있는지
▷부채그리기 등 진로와 동떨어진 내용이어서 아쉬웠다.
자유학기제 미술관에서 오래 기다리고 게임하는 등
핵심과 멀었다
▷1학년 때부터 진로체험을 하는데 내용은 별로 ..그냥 그랬다. 머리에 없다
▷1학년때..받은 듯←기억안난다.
★바라는 진로 교육내용이 있나요? 없...다ㅡ
▷1학기 자유학기제 1주에 세번씩 진로에 관한 것
청소년 체험관-과학자..나와 관심있는 분야여서 좋았다.
▷ 내용 기억 안 남, 1학년 때...
(: 구체적인 내용이 없이 진행되는 듯한 느낌이너서..인타깝네요
이제부터 하면 되는 나이입니다.)
[4] '연대' '집단지성'을 배우기 위해 학교에 가야한다는 김경집 님의 말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 음악시간에
분단별발표 하믄 경우 노래부르는 사람은
발표체험 /듣는 사람은 관객체험을 하는 데....
▷ 이 말에 동의하고
(홈스쿨링은 사회성이 안 안 길러질 듯..)
▷ 학습, 고유성, 정체성
▷ 친구와의 유대감
▷ "의무교육'
▷ 밥먹으러
▷ 사람답게 살려고
?? '함께'보다는 "경쟁'적이라고 느낀 적은 없는지?
▷나는 학교에서 그렇게 안 느꼈다^^;;;
←이제부터라도 나는 학교를 왜 다니는지 생각해보면서 다녀봅시다
[5] 돈 안되는 일도 하겠다라는 생각에 어떻게 생각하는지?
▷30살 부터 돈을 벌기 시작하는데
-결혼도 못한다 인생이 더 어려워진다고 본다.
▷그럼일는 자기가 진심으로 하고 싶은 일일텐데 10년 까지 가지 않고 이전에라도 돈은 생길 것
[이향정(전지원맘)] [오전 11:08] ▷ 돈이 있어야 우리의 삶을 이어 나갈 수 있다..그런 일은 진로 선택이 어렵다..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하는 게 좋겠다.
▷돈이 없어도 할 것 같다
(좋아하는 일이 생긴다면)
[6]
▷어떤어른들은 자유학기제에 놀라고 하고 어딴 어른은 이럴 때 일수록 공부하면 니가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말한다.
:헷갈린다.
▷노는 것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사회와는 안 맞는다.
나중에 더 힘들 듯.
▷어차피 어른이 되면 못하나까 지금은 자기가 하고 싶은 덜 하는 게 맞다!
[7] 왜 공부를 하지?
나는 어떤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뭐 해먹고 살지?부터 시작하는 게 아니라^^;;;;)
▷동의하고
▷자기를 완벽히 파악해야 결정할 수 있기때문에 이 말이 맞다~
[8] 꿈 50개 쓰고 기준(죽음 앞에서 퇴색되는 꿈...etc)에 따라 걸러내라고 하는데 가짜 꿈을 걸러내는 기준이 또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남'이 원하는 것인지 '내'가 원하는 것인지
▷20년동안 계속하면 내가 계속 행복할 수 있는지
▷ 유행을 따라하는 것은 아닌가?
←여러분들의 기준을 계속 생각해봅시다~
[9] 직장인에게 학창 시절 후회되는 것에 설문을 했다.
여러분은 어떨 것 같은지?
▷ 외국어: 세계화 글로벌...시대니까
▷공부 더 열심히 할 걸...그럴것 같다
[오전 11:41] ▷공부 좀 더 할 걸..
여러분에게는 이것이 미래의 일이니거
후회의 원인을 찾고..후회하지 않도록 해 봅시다~
10년 후 누구와 무엇을 하고 있을 지 나의
모습을 그려봅시다.
2018년 7월
▷ 집에서 일하고 있을 듯-집에서 3D로 집 도면 그리고 있을 듯
■선택/찬반토론
[1] 고민을 먼저 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하는지?
[2] 좋아하는 일 vs.잘하는 일
어떤걸 (먼저) 선택해야 할까?
▷좋아하는 걸 하다보면 잘 할 것이다
▷좋아하지만 하다보면 자기가 잘 못해서 싫어질 수 있다 .
잘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게 칭찬도 받고 해서....
좋을 듯
※ 아이들의 꿈의 세계를 이렇게 식민화하는 일이 진로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844741.html#cb#csidx877d4b6241fc439a25dc777e0c53661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여러 나라는 교육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 기초교육, 특히 수학, 과학 교육을 강화하고 성인의 재교육을 쉽게 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수학 시간이 전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트래킹이 약화되고 있다.(한국은 거꾸로 기하를 수학에서 뺌)
*트래킹(tracking)이란 실업계와 인문계, 영재 코스와 일반 코스 등으로 트랙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트래킹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독일은 2000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오이시디 국가 중 꼴찌에 가까운 성적을 냈는데, 인문계와 실업계의 구별이 너무 일찍 이루어진다는 것이 그 원인이었다.
& 폴란드는 15세에 이루어지는 트래킹을 16세로 늦추는 것만으로도 피사 점수가 크게 올랐다. 핀란드는 영재코스를 따로 만들지 않고 앞서가는 아이가 뒤처지는 아이를 도와주게 하는데, 덕택에 핀란드 아이들은 다들 수학을 잘한다.
'청소년토론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색인간>- 24개 이야기의 줄거리 (0) | 2018.07.25 |
---|---|
2018 여름 청소년 독서토론교실 (0) | 2018.07.18 |
사람은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청소년 독서 토론 6월9 일 (0) | 2018.06.09 |
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청소년 독서 토론 5월12일) (0) | 2018.05.12 |
제시이야기(2018.4.14.토요일) (0) | 2018.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