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주는 나무(2018.10.13)
아낌없이 주는 나무 (어린이용) - 셸 실버스타인 지음, 이재명 옮김/시공주니어 |
2. 책에서 인상적인 장면은?
▶ 정말로 행복한 것은 아니라고 했기 때문에 그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 나는 소년이 커가면서 너무 이기적인 것이 보기 싫었다.
▶ 그네타는 장면이 인상깊다.- 그때까지만 해도 소년과 나무는 서로가 좋았었다.
3. 나무-소년의 관계를 보고 주변에 어떤 관계가 떠올랐나요?
▶ 엄마-딸(나)
▶ 그런 친구가 있다.
▶ 아빠가 떠오른다.
4. 나무가 꼭 행복한 것은 아니었다고 했는데 왜 그랬을까요?
▶ 나무는 소년이 행복해서 행복했을 듯 한데,
소년이 자기 곁에 없어서 정말로 행복한 것이 아니라고 했을 듯하다.
▶가버린 것 때문에 그렇게 말핬을 것 같다.
▶나무는 소년이 주는 사랑을 받고 싶었을 것이다.
5. 아낌없이 주는 나무 끝임없이 베풀어주기만 하는데 잎-사과-가지-몸통까지 다 내어주는데 나무가 소년에게 받은 건 없었을까
▶소년이 나무를 사랑했다는 하트표시 증표가 남았을 듯
- 맨끝까지
▶ 나무는 소년(사랑하는 대상)이 있어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 두 개의 징표만 남았다.
▶ 배를 만든다고 하트하나가 없어졌다.
소년이 어렸을 때 새긴 하트는 나무 밑둥에남아 있고 나머지 하트는 소년이 가지고 간 부분에 있다. 그건 이별을 암시하는 건지?
( ← 다른친구가 나무의 윗부분에 있던 두번째 하트는 소년이 자랐을 때 여자친구와 새긴 거라고 알려줌)
▶나무에게는 소년이 어릴 때 같이 놀았던 추억이 남았다.
▶사랑은 변하는 것이다. 이성친구가 생기면서 소년은 나무에 대한 마음이 사라졌다.
단지 나무가 가진 밑동이 필요해서 나무를 찾았다.
▶나무로서는 소년이 사과를 내다 팔았기 때문에
사과씨가 퍼뜨려져서 나무의 번식에 도움이 되었을 것 같다.
6.나무의 사랑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
바람직하지 않다. 6명 바람직하다. 2명
▶ 바람직하지 않다. 자기를 잃지 않고도 사랑을 줄 수는 방법이 있는데 다주는 것은 옳지 않다.
▶ 나무의 무조건적인 희생은
→ 소년을 받기만 하는 이기적인 사람으로 만들었다.
▶ 그런데 사랑에는 무조건 주기만 하는 건 아가페의 사랑도 있지 않나?
▶하지만 부모님의 사랑도 무조건 적이진 않다.
필요할땐 혼을 낸다. 애를 곱게 키우면 애를 망친다고 하는말이 있지 않나.
무조건 적인으로 주는 것이 곧 사랑은 아니다.
▶하지만 나무는 부모가 아니다. 교육은 부모가 하니까 나무는 무조건 적인 사랑을 해도 괜찮을 듯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다같이 다시 써보자.
어떻게 바꿀까?
- 소년이 나무를 챙겨주는 식으로 하자
- 소년에게 고구마를 먹이 듯이 하자
- 복수전으로 하자 소년이 요구하면 나무도 요구하기로 밀당을 하자
- 아낌없이 가져가는 나무
- 나무가 얄밉게 반응하는 것으로 하자
- 갈수록 싸가지가없고사 악해지는 소년...
- 풍등을 날렸다가 불이 붙어서 가지가타서 나무를 잘랐다.
- 소년이 숨바꼭질 하다가 삐졌다.
- 소년이 학교폭력을 당해서...
- 옛날에 나무가 한그루 있었습니다.
- 나무는 외로웠습니다 .
- 왕따였던 소년도 외로워서 나무를 찾아왔습니다.
- 그래서 소년을 납치했습니다. 사이좋게 놀기 시작했습니다.
- 하지만 이 나무에게는 주인이 있었습니다.
열받은 주인은 나뭇가지를 잘라 호텔을 만들었습니다.
(엄쌤의 말씀에 따르면 아프리카에는 나무 위에 있는?? 나무로 만든
엄청 비싼 호텔도 있다함. 최고의 경치를 자랑)
- 나무의 주인의 등장
- 잔인한 일을 하자 , 자국 새기기
- 주인이 누가 나무에 자국을 새겼는지 물어왔습니다.
- 그러나 그 자국은 나무 스스로 새겼던 자국이었습니다.
- 하지만 나무는 자신이 썼다고 하지 않고 소년을 혼내준 가해자들이 했다고 말했습니다
- 몇년 후 그 사실을 알게 된 소년의 아버지가 나무를 찾아와서 고맙다.고 함
■ 소감
▶ 그동안 의견 말하기만 했는데 참여해서 이야기 바꾸기를 해서 재미있었다.
▶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신선했다.
▶ 재미있긴 했는데 책내용이 토론할 만 한게 없어서 아쉬웠다.
▶ 책에 소년이 안좋게 나오는 것이 인상깊다.
▶ 같이 이야기 만들기해서 즐거웠다.
- 나무는 외로웠습니다.
- 왕따였던 소년도 외로워서 나무를 찾아왔습니다.
- 어느날 나무가 소년이랑 사이좋게 놀기 시작했습니다.
- 하지만 나무에게는 원래 주인이 있었습니다.
- 그 주인은 나무에게 생긴 자국을 누가 새겼는지 물었습니다.
- 그러나 그 자국은 나무 스스로 새겼던 자국이었습니다.
- 하지만 나무는 소년을 괴롭힌 아이들이 자국을 남겼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소년을 괴롭힌 가해자들은 나무 때문에 주인에게 혼이 났습니다.
- 그 일 때문에 혼이 난 가해아이들이 나무줄기를 잘랐습니다.
-몇년후에 학교로부터 소년이 왕따였던 걸 알게 된 소년의 아버지가 나무를 찾아왔습니다.
- 고마워 나무야.
'그림책으로철학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란 무엇인가? 강의안 (0) | 2018.12.04 |
---|---|
[서문수 정기모임] 난 무서운 늑대라구 2018.11.21그림책으로 철학하기 (0) | 2018.11.23 |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6(2018.9.5) (0) | 2018.08.20 |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5(2018.8.29) (0) | 2018.08.20 |
뛰어라 메뚜기-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실행편 1차시 (0) | 2018.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