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서대문구 우수동아리 지원사업
서문수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실적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있습니다. http://bookclubsms.tistory.com/
목차
[1]<그림책으로 철학하기>의 정의, 경청,집단지성(2018. 6. 20)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란?
→ 철탐공은 소리내어 함께 생각하기로서 (경청을 통해) +생각을 보태나가는 것
2.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를 위해 필요한 것들
→ 수평적인 대화-수평적 대화라야 사고의 지평이 넓어짐
3. ‘경청’을 위해 필요한 것?
4. ‘질문’을 위해 필요한 것?
→ 단순한 연상이 아닌 생각을 키워나갈 수 있는 질문을 해야 함
경청을 통하여 질문과 답의 맥락을 잘 이해해야 가능함
5.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는 타인에 대한 존중과 자신의 사고에 대한 성찰과
집단 지성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2] 중학생과 철탐공 (2018. 6. 27)
경청과 질문의 의미 다시 한 번 되새기기
2. 중학생들에 대해 생각해 보기- 중학생들이란 어떤 존재인가?
- 사고하는 힘이 커지는 단계
- 그러나 사고의 부문별 편차가 있슴
3. 중학생들에게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란 어떤 의미일까?
-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섞여 있음 지적자극이 필요한 시기
4. 중학생들과 함께 하는 우리들에게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는 어떤 의미일까?
→ 생각을 키울 수 있는 대화-:철탐공이 필요한시기
5. 중학생들과 함께 하기 좋은 그림책 찾아보기
6. <사소한 소원만 들어주는 두꺼비>로 철탐공 진행
[3]소크라테스질문(2018. 7. 4)
1. 토의 진행을 위한 소크라테스 질문들
▶ 이유: 왜 그렇게 생각해?
▶ 근거는?
▶ 정의는?
▶ 대안은?
▶ 함의(주장에 담겨 있는 뜻)이 뭘까
▶ 예 , 공통점
2. 각자 가지고 온 그림책 소개
3. 중학생들과 토의한 경험 공유하기
[4] 진행자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2018. 7. 11)
1. <할머니의 기억은 어디로 갔을까?>로 철학적 탐구 공동체 진행하기
▶ 진행자는 앞서가는 멘토보다는 촉진자 Facilitator
▶ 준비는 많이 하고 할 말을 참고, 결정적인 순간에만 도움을 주어야 함
▶ 토론자가 제시하는 개념어의 의미를 탐구하도록 도와준다.
수동적 /행복 / 의지 etc
▶ 발언자의 말을 중간에 끊지 않고 끝까지 들으면 욕구가 해소되면서 오히려 진행이 쉬워질 수 있다.
▶ 참여자는 짧게 말하기를 해야 하고 진행자는 적절한 순간에 패러다임을 제시 해줘야한다.
▶ 훌륭한 진행자= 훌륭한 양육자와 비슷
* 민감성-발언이 나온 배경, 전제 알아차리기(전제가 틀렸거나 비합리적일 수 있음).
* 정서적 안정감제공
* 개방성- 진행을 잘하려면 평상시에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 완성도 있는 기록을 남기기
[5] 복습- 실제경험 나누기, 진행작의 역할, 평소의 준비 (2018. 8. 29)
1. 철탐공의 실제에 대한 경험 공유하기
2. 진행자의 역할 다시 정리해 보기
3. 철탐공을 잘 하기 위한 평소의 준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4. 생각과 삶의 일치를 위하여....
[6] 사고게임, 철탐공의 의미 공유 (2018. 8. 29)
1. 철탐공에서 수업에서 할 수 있는 구조화된 사고력 활동
① 비교하기 -공통점 차이점 찾기 펜, 동전
② 이름 바꿔 부르고 맞추기
③ 볼펜 질문 많이 만들기
④ 질문을 적게 하기 - 답을 먹고 사고력 연습 아이템
ex) 사고력 향상을 위한 언어게임
카드 -이야기 만들기 - 중학생
뇌구조 그리기- 팀으로
마인드맵- 마이드맵의 기본을 잡아줄 필요가 있다.
2. 철학적 탐구를 확장하는 방법
1) 책을 정해
2) 질문 여러 개 적어보기
3) 혼자서 묻고 답하고, 묻고 답하기
4) 질문 아래 깔려 있는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볼 수 있는 철학 에세이 등을 찾아본다.
3. 철탐공의 의미에 대한 공유
- 삶의 의미 깨닫는 것에서 답보하지 말고 한발짝 한발짝 성장해 나가야 한다.
- 철탐공에서 이루어진 생각하는 훈련 등은 다른 활동의 기틀이 된다.
[7] 아낌없이 주는 나무 청소년 토론 (2018. 10. 13)
▶ 책에서 인상적인 장면은?
▶ 나무-소년의 관계를 보고 주변에 어떤 관계가 떠올랐나?
▶ 나무가 꼭 행복한 것은 아니었다고 했는데 왜 그랬을까?
▶ 아낌없이 주는 나무 끝임없이 베풀어주기만 하는데 잎-사과-가지-몸통까지 다 내어주는데 나무가 소년에게 받은 건 없었을까
▶ 나무의 사랑이 바람직한걸까?
[8]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동아리원 토론 (2018. 8. 29)
질문- 대답 질문- 대답으로 토론을 이어나감
* 살길이 없다고 생각한 순간 메뚜기는 어떻게 포기하지 않고 날개짓을 할 수 있었을까요?
* 맨끝에 만나 보라색 메뚜기는 누구일까요?
* 메뚜기는 왜 겁먹고 사는 것이 싫었을까요?
* 메뚜기는 왜 구름을 뚫고 더 이상 올라가지 못했을까요?
* 메뚜기는 왜 멀리멀리 날아갔을까요?
* 메뚜기는 잡아먹힐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바위 꼭대기에 올라갔을까요?
* 왜 제목은 날아라 메뚜기가 아니라 뛰어라 메뚜기일까요?
[9]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동아리원 토론 (2018. 11.21)
▶ 돼지는 왜 자기들은 교양이 있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나요?
▶ 늑대의 배고픔은 해결이 되었나요?
▶ 늑대는 나중에 행복해 보이는데 왜 행복해 보일까요?
▶ 늑대는 왜 자기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동물의 인정을 받으려고 했을까요?
▶ 늑대가 학교와 도서관을 갈 수 있는 힘은 어디서 왔을까요?
'그림책으로철학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책으로 철학하기>란 무엇인가? 강의안 (0) | 2018.12.04 |
---|---|
[서문수 정기모임] 난 무서운 늑대라구 2018.11.21그림책으로 철학하기 (0) | 2018.11.23 |
아낌없이 주는 나무(2018.10.13) (0) | 2018.10.16 |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6(2018.9.5) (0) | 2018.08.20 |
그림책으로 철학하기 5(2018.8.29) (0) | 2018.08.20 |
댓글